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인사 장경판전의 역사, 목판 보관 원리와 건축적 특징

by hustleman02 2025. 4. 1.

 

 

해인사 장경판전 개요

해인사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산에 위치한 대표적인 사찰로,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장경판전이 있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장경판전은 국보 제5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된 귀중한 문화재입니다.

이곳에는 총 81,258장의 고려대장경 목판이 보관되어 있으며, 불교 경전을 집대성한 것으로 고려 시대의 역사와 신앙이 담겨 있습니다.

 

해인사 장경판전

*.장경판전의 역사

1. 고려대장경의 제작 배경

고려대장경은 몽골의 침략을 극복하고 국난을 타개하고자 하는 염원에서 제작되었습니다. 고려 현종 때(11세기 초) 처음 만들어졌으나,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습니다.

이후 고려 고종(1236년) 때 다시 제작이 시작되어 16년 동안 조성되었고, 1251년에 완성되었습니다. 불교 경전을 통해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한 것입니다.

2. 장경판전의 건립

고려대장경 목판은 처음에는 강화도에 보관되었으나, 고려가 몽골과 강화를 맺은 후 보존을 위해 1398년(조선 태조 7년)에 해인사로 옮겨졌습니다.

현재의 장경판전은 15세기(조선 세종~성종 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보수와 관리를 거쳐 현재까지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습니다.

 

*.장경판전의 목판 보관 원리

고려대장경 목판은 700여 년 동안 보존되어 왔으며, 장경판전은 과학적인 보관 원리를 적용하여 목판이 변질되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보관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연 환기 시스템

건물의 앞면과 뒷면에는 크기와 높이가 다른 창이 설치되어 있어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며 내부 습도를 조절합니다.

2. 바닥 구조와 습도 조절

바닥에는 모래, 숯, 석회, 소금 등을 깔아 습기를 흡수하거나 방출하여 목판을 보호합니다.

3. 온도와 습도의 균형

장경판전은 해발 600m 이상의 위치에 있으며, 남향으로 지어져 기온 변화가 적고, 바람이 원활하게 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4. 목판의 배치 방식

목판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공기가 잘 통하고, 곰팡이 및 해충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장경판전의 건축적 특징

장경판전은 고려 시대의 뛰어난 건축 기술이 반영된 전통 문화유산입니다.

1. 단순하지만 과학적인 구조

장경판전은 소박한 건물처럼 보이지만, 길이, 높이, 창문의 위치 등 과학적 설계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2. 남북 방향의 배치

건물은 남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고 내부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3. 목재 사용과 내구성

소나무 목재를 사용하여 못 없이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지어졌으며, 자연 환기가 잘 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4. 기단과 배수 시스템

높은 기단과 배수로가 있어 비가 많이 오는 날에도 습기가 차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장경판전의 가치와 보존 노력

해인사 장경판전은 고려대장경을 보호하는 세계적인 보존 기술의 산물로,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현재 정부와 학계에서는 현대적인 보존 기술과 결합하여 보호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목판의 디지털화 작업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해인사 장경판전은 한국 전통 건축의 뛰어난 기술과 과학적 원리가 결합된 대표적인 문화유산입니다. 지속적인 연구와 보존 활동을 통해 이 귀중한 유산이 후대에도 온전히 전해지길 기대합니다.

 

참고: 문화재청, 유네스코 세계유산 센터